신생아의 건강상태 측정법 중 황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신생아 황달
생후 1주일 전후로 아기의 피부와 눈의 흰자위가 황갈색으로 변하는 것을 신생아 황달이라 한다.
피부와 눈이 노랗게 변했다가 다시 정상으로 돌아오나 때로는 치료가 필요한 중증 황달로 발전할 수 있다.
1. 생리적 황달 신생아들은 정상인 경우에도 황달이 생기는 경우가 많다.
정상 신생아에게 생기는 황달을 생리적 황달이라 하는데 보통 생후 3~5일경에 생기며 7~10일경에 사라진다.
원인은 피의 적혈구가 연약하여 잘 깨져서 그 구성물인 빌리루빈이 많이 생성되고 간의 기능이 미성숙하여
잘 처리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2. 모유황달
모유를 먹이는 아기는 흔히 황달이 10일이상 오래가고 심한 경우가 있는데 이 때는 모유를 1~2일 일시적으로
끊어보고 황달이 모유 때문인 것을 확인해 보아야 한다. 모유를 끊어 황달이 좋아지면 모유황달로 판단하는데
모유를 먹이는 아기의 경우 간에서 빌리루빈 제거를 방해하는 지방산이 증가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모유황달의 경우 모유가 나빠서 생기는 것이 아니므로 황달이 좋아지면 다시 모유를 먹여야 한다.
3. 신생아 황달 치료
치료법은 광선요법 및 교환수혈이 있다. 광선요법은 아기의 피부에 광선을 쬐어 황달을 일으키는 빌리루빈을
낮추는 방법이다. 황달이 있는 아기는 좋아지겠거니 하고 기다리지 말고 소아과 전문의의 진료를 받는 것이 좋다.